Jay's Cookbook
Menu
  • Tags
  • Categories
  • Projects
Computer Science
OS
Network
Data Structure
Algorithm
Language
Code Architecture
Python
Javascript
Typescript
Java
Backend
Backend Theory
TypeORM
Node.js
NestJS
FastAPI
Frontend
HTML/CSS
React
Next.js
Data Engineering
DE Theory
MySQL
MongoDB
Elastic
Redis
Kafka
Spark
Airflow
AI
Basic
Pytorch
NLP
Computer Vision
Data Analytics
Statistics
Pandas
Matplotlib
DevOps
Git
Docker
Kubernetes
AWS
Statistics and Probability Series [Part3]: 확률(1) 확률 구하기
data_analytics
statistics

Statistics and Probability Series [Part3]: 확률(1) 확률 구하기

Jay Kim
Jay Kim 06 Sep 2022
Statistics and Probability Series [Part2]: 기술통계 Statistics and Probability Series [Part4]: 확률(2) 확률 분포

Table of Contents

  • 경우의 수
    • 곱의 법칙과 합의 법칙
    • 순열
      • 원순열
      • 중복순열
      • 같은 것을 포함하는 순열
    • 조합
      • 조합의 성질
      • 중복조합
  • 확률
    • 표본 공간과 사건
    • 결합 확률(Joint Probability)
    • 조건부 확률(Conditional Probability)
    • 주변 확률(Marginal Probability)
    • 배반사건과 독립사건

경우의 수

  • 1회의 시행에서 일어날 수 있는 사건의 가짓수를 n이라고 할 때 이 때의 경우의 수를 n이라고 한다

곱의 법칙과 합의 법칙

  • 곱의 법칙: A 사건과 B 사건을 하나의 사건 C로 묶으면, C 사건의 경우의 수는 두 사건의 경우의 수의 곱이다
  • 합의 법칙: A 사건 또는 B 사건이 일어나는 사건을 C라고 하면, C 사건의 경우의 수는 두 사건의 경우의 수의 합이다

  • 곱의 법칙: X에서 Z로 가는 사건은 X에서 Y로 가는 사건과 Y에서 Z로 가는 사건의 묶음이므로 경우의 수는 두 사건의 경우의 수의 곱인 12(3 X 4)이다
  • 합의 법칙: X에서 Y로 가는 사건 또는 X에서 Z로 가는 사건을 하나의 사건으로 두면, 경우의 수는 두 사건의 경우의 수의 합인 4(3 + 1)이다

  • 모자와 티는 곱의 법칙
  • 반팔티와 긴팔티는 합의 법칙

순열

  • 하나의 사건 안에 순서 개념이 포함된 경우, 그 사건 하나하나를 순열이라 한다
  • 서로 다른 n개에서 서로 다른 r개를 뽑아 일렬로 나열하는 순열의 경우의 수를 nPr로 표기한다
  • ex. 반에서 5명중 반장과, 부반장을 뽑을 때 나올 수 있는 경우의 수

원순열

  • 순서를 가지되, 한 칸씩 이동할 때 같아지는 나열을 같은 나열로 취급하는 순열
  • (A - B - C)와 (C - A - B)와 (B - C - A) 는 하나의 경우

중복순열

  • 서로 다른 n개에서 중복을 허용하여 r개를 뽑아 나열하는 순열을 중복순열이라 한다
  • ex. A, B, C 3명이 가위바위보 게임을 할 때 나올 수 있는 경우의 수

같은 것을 포함하는 순열

  • n개중 같은 것을 각각 p개, q개, r개 포함하는 순열
  • ex. 직교좌표계에서 출발지에서 도착지로 가는 최단경로의 경우의 수

  • (이 문제는 조합으로 생각할 수도 있다. 12개의 빈칸중 위쪽 화살표가 들어갈 4자리를 선택하는 조합의 수)

조합

  • 하나의 사건 안에 순서 개념이 없는 경우, 그 사건 하나하나를 조합이라 한다
  • n개에서 r개를 뽑는 조합의 경우의 수를 nCr로 표기한다
  • ex. 멤버중에 2명을 뽑는 경우의 수

조합의 성질

중복조합

  • 중복을 허용한 조합
  • ex. 인기투표

  • 하트와 짝대기로 같은 것을 포함하는 순열로 생각할 수 있다
  • 같은 것을 포함하는 순열은 조합으로 나타낼 수도 있다

확률

  • 확률은 어떤 일이 발생할 것으로 기대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를 말한다
  • 확률은 크게 수학적(선험적) 확률과 통계적(경험적) 확률로 나뉜다
    • 통계적 확률은 실제로 발생한 데이터를 이용해 확률을 구한다
    • 수학적 확률은 데이터가 발생하기 전에, 수치화할 수 있는 사건의 확률을 구한다
  • 여기서는 수학적 확률에 대해 얘기한다

표본 공간과 사건

  • 시행(trial): 반복할 수 있고 결과가 우연에 좌우되는 실험이나 관측
  • 표본 공간(sample space): 어떤 시행을 했을 때 일어날 수 있는 모든 결과를 모은 집합
  • 사건(event): 표본 공간의 부분 집합
예: 주사위 던지기

시행: 주사위 던지기
표본 공간: {1, 2, 3, 4, 5, 6}
사건: 짝수 눈이 나오는 경우 {2, 4, 6}

이 때 확률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결합 확률(Joint Probability)

  • 결합 확률(Joint probability)은 2개의 사건이 동시에 일어나는 확률

조건부 확률(Conditional Probability)

  • 사건 A와 B가 독립사건이 아닌 경우, 두 사건이 모두 일어날 확률은 조건부 확률로 나타낸다
  • 사건 A가 발생했을 때 사건 B가 발생할 조건부 확률을 P(B|A) 로 나타낸다
  • 조건부확률을 이용하면, 원인 A로 인해 발생한 결과 B의 확률을 통해 역으로 일어난 결과 B에 대해 그 원인이 A일 확률을 구할 수 있다
  • ex. 전체 남자중에 색맹의 비율을 알면, 역으로 색맹인 사람에 대해 그 사람의 성별이 남자일 확률을 알 수 있다

주변 확률(Marginal Probability)

  • 결합 확률을 하나의 확률 변수에 대해 적분함으로써 다른 확률 변수에 관한 확률로 나타낸다

배반사건과 독립사건

  • 배반사건: 두 사건의 교집합이 공집합인 경우

  • 독립 사건: 두 사건의 교집합의 확률이 각 사건의 확률의 곱과 같은 경우
  • (사건 A의 발생이 사건 B의 발생 여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경우)

Statistics and Probability Series [Part2]: 기술통계 Statistics and Probability Series [Part4]: 확률(2) 확률 분포

You may also like

See all statistics
07 Sep 2022 통계를 이용한 데이터 분석 [Part8]: 회귀와 예측
data_analytics
statistics

통계를 이용한 데이터 분석 [Part8]: 회귀와 예측

06 Sep 2022 Statistics and Probability Series [Part7]: 베이지안 통계
data_analytics
statistics

Statistics and Probability Series [Part7]: 베이지안 통계

06 Sep 2022 Statistics and Probability Series [Part6]: 추측 통계(2): 검정(Testing)
data_analytics
statistics

Statistics and Probability Series [Part6]: 추측 통계(2): 검정(Testing)

Jay Kim

Jay Kim

Web development, data engineering for human for the Earth. I share posts, free resources and inspiration.

Rest
Lifestyle
Hobby
Hobby
Hobby
Hobby
2025 © Jay's Cookbook. Crafted & Designed by Artem Sheludko.